스프레드시트 기본 계산과 함수 완벽 가이드 - 초보자도 10분이면 마스터

스프레드시트의 핵심, 계산 기능을 완벽하게 정복하세요! 사칙연산부터 SUM, AVERAGE, COUNT 함수까지,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산 기능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.

스프레드시트 기본 계산과 함수 완벽 가이드 - 초보자도 10분이면 마스터

스프레드시트를 배우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질문이 있습니다. "도대체 이걸로 뭘 할 수 있나요?" 답은 간단합니다. 계산입니다. 스프레드시트의 진짜 힘은 수많은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스프레드시트 계산의 기초부터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들까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. 엑셀이든 구글 스프레드시트든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니, 걱정하지 마세요!

계산의 시작: 사칙연산 마스터하기

덧셈 (+)

스프레드시트에서 계산을 하려면 항상 등호(=)로 시작해야 합니다. 이것만 기억하면 절반은 성공입니다.

기본 덧셈 예시:

  • 셀에 =10+20을 입력하면 결과는 30
  • =A1+B1을 입력하면 A1 셀과 B1 셀의 값을 더한 결과가 나옵니다

실전 활용: 가계부를 만든다고 가정해볼까요? A열에 식비, B열에 교통비가 있다면, C열에 =A2+B2를 입력하면 총 지출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
뺄셈 (-)

뺄셈도 동일한 방식입니다.

예시:

  • =100-30 → 결과: 70
  • =A1-B1 → A1에서 B1을 뺀 값

실전 활용: 예산 대비 실제 지출을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. 예산이 A2에, 실제 지출이 B2에 있다면 =A2-B2로 남은 예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곱셈 (*)

곱셈은 별표(*) 기호를 사용합니다. 'x'가 아니라는 점을 주의하세요!

예시:

  • =5*10 → 결과: 50
  • =A1*B1 → A1과 B1을 곱한 값

실전 활용: 상품 가격(A2)과 수량(B2)이 있을 때, =A2*B2로 총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 판매 데이터를 관리할 때 필수적인 계산이죠.

나눗셈 (/)

나눗셈은 슬래시(/) 기호를 사용합니다.

예시:

  • =100/4 → 결과: 25
  • =A1/B1 → A1을 B1으로 나눈 값

실전 활용: 총합을 개수로 나눠 평균을 구하거나, 전체 비용을 인원수로 나눠 1인당 금액을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.

⚠️ 주의사항: 0으로 나누려고 하면 #DIV/0! 오류가 발생합니다. 이건 당연한 수학 원리죠!

연산기호기본 예시결과셀 참조 예시실전 활용
덧셈+=10+2030=A1+B1식비(A2) + 교통비(B2) = 총 지출 계산
뺄셈-=100-3070=A1-B1예산(A2) - 실제지출(B2) = 남은 예산 확인
곱셈*=5*1050=A1*B1단가(A2) × 수량(B2) = 총액 계산
나눗셈/=100/425=A1/B1총비용(A2) ÷ 인원수(B2) = 1인당 금액

복합 계산

여러 연산을 한 번에 할 수도 있습니다. 수학 시간에 배운 연산 순서가 그대로 적용됩니다.

예시:

  • =(10+20)*2 → 결과: 60 (괄호 안을 먼저 계산)
  • =10+20*2 → 결과: 50 (곱셈을 먼저 계산)
수식결과설명
=(10+20)*260괄호 안을 먼저 계산 (30×2)
=10+20*250곱셈을 먼저 계산 (10+40)
=(100-20)/420괄호 먼저, 그 다음 나눗셈
=50*2+10110곱셈 먼저 (100+10)

SUM 함수: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의 왕

여러 개의 숫자를 더해야 할 때, 일일이 =A1+A2+A3+A4+A5...라고 입력하는 건 비효율적입니다. 이때 SUM 함수가 등장합니다.

SUM 함수 기본 사용법

구조:

=SUM(시작셀:끝셀)

예시:

  • =SUM(A1:A10) → A1부터 A10까지의 모든 숫자를 더합니다
  • =SUM(A1:C1) → A1, B1, C1을 더합니다
  • =SUM(A1:A5, C1:C5) → A1A5와 C1C5를 모두 더합니다
셀 위치매출액
1월C22,500,000
2월C32,800,000
3월C43,200,000
4월C52,900,000
5월C63,100,000
6월C73,400,000
7월C83,600,000
8월C93,300,000
9월C103,000,000
10월C113,500,000
11월C123,700,000
12월C133,900,000
연간 총매출C14=SUM(C2:C13)

실전 활용 사례

월간 매출 합계 구하기: 1월부터 12월까지 매출이 B2~B13 셀에 있다면:

=SUM(B2:B13)

이 한 줄이면 1년 총매출이 계산됩니다!

팁: 범위를 선택할 때는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. 직접 타이핑할 필요가 없어요!

자동 합계 버튼 활용

엑셀과 구글 스프레드시트 모두 **자동 합계 버튼(Σ)**이 있습니다.

엑셀의 자동합계(홈>편집탭)
  • 합계를 표시할 셀을 선택
  • 자동 합계 버튼 클릭
  • 범위 확인 후 엔터

단 3초면 끝납니다!

AVERAGE 함수: 평균을 순식간에

평균은 일상에서도 자주 계산하는 값입니다. 시험 점수 평균, 월평균 지출, 평균 매출 등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.

AVERAGE 함수 기본 사용법

구조:

=AVERAGE(시작셀:끝셀)

예시:

  • =AVERAGE(A1:A10) → A1부터 A10까지의 평균
  • =AVERAGE(B2:F2) → 한 행의 여러 열 평균

실전 활용 사례

성적표 만들기: 학생의 국어, 영어, 수학, 과학, 사회 점수가 B2~F2에 있다면:

=AVERAGE(B2:F2)

5과목 평균이 바로 계산됩니다.

월평균 지출 계산: 12개월 지출 데이터(B2:B13)의 평균:

=AVERAGE(B2:B13)

AVERAGE의 똑똑한 기능

AVERAGE 함수는 빈 셀이나 텍스트를 자동으로 무시합니다. 만약 10개 셀 중 2개가 비어있다면, 8개의 평균을 계산해줍니다. 굉장히 편리하죠!

예시:

  • A1~A5에 10, 20, (빈칸), 30, 40이 있다면
  • =AVERAGE(A1:A5) → 결과: 25 (10+20+30+40을 4로 나눈 값)
셀 위치매출액
1월C22,500,000
2월C32,800,000
3월C43,200,000
4월C52,900,000
5월C63,100,000
6월C73,400,000
7월C83,600,000
8월C93,300,000
9월C103,000,000
10월C113,500,000
11월C123,700,000
12월C133,900,000
월 평균 매출C14=AVERAGE(C2:C13)

COUNT 함수: 데이터 개수 세기

"도대체 데이터가 몇 개나 있지?" 이런 의문이 들 때 COUNT 함수를 사용합니다.

COUNT 함수 기본 사용법

구조:

=COUNT(시작셀:끝셀)

중요: COUNT는 숫자만 셉니다. 텍스트나 빈 셀은 세지 않습니다.

예시:

  • =COUNT(A1:A20) → A1~A20 범위에서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

COUNT 함수 가족들

실은 COUNT에는 형제들이 있습니다:

COUNTA: 숫자, 텍스트, 모든 데이터를 셉니다

=COUNTA(A1:A20)

빈 셀만 제외하고 모두 카운트합니다.

COUNTBLANK: 빈 셀의 개수를 셉니다

=COUNTBLANK(A1:A20)

미제출 과제나 미입력 데이터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.

실전 활용 사례

출석부 관리: 학생 출석 데이터(B2:B31, 한 달 30일)에서 출석일수 확인:

=COUNT(B2:B31)

출석을 "1"로 표시했다면, 출석한 날의 개수가 나옵니다.

설문조사 응답률: 100명에게 설문을 보냈고, 응답이 A1:A100에 있다면:

=COUNTA(A1:A100)

몇 명이 응답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재고 관리: 제품 목록(A1:A50)에서 실제 재고가 있는 품목 수:

=COUNT(B1:B50)

재고 수량 열에 숫자가 입력된 품목만 셉니다.

여러가지 COUNT 함수 비교표

함수카운트 대상수식 예시활용 상황
COUNT숫자만=COUNT(A1:A100)점수 입력된 학생 수, 판매량 기록된 날 수
COUNTA모든 데이터 (텍스트 포함)=COUNTA(A1:A100)설문 응답자 수, 이름 입력된 인원 수
COUNTBLANK빈 셀만=COUNTBLANK(A1:A100)미제출 과제 수, 미입력 데이터 확인
COUNTIF조건 만족 데이터=COUNTIF(A1:A100,"합격")합격자 수, 특정 등급 개수

COUNT 함수 활용 꿀팁

설명예시 수식
응답률 계산COUNTA로 응답 수 세고 전체로 나누기=COUNTA(A1:A100)/100*100&"%"
미완료 항목전체에서 완료 항목 빼기=COUNTA(A1:A50)-COUNT(B1:B50)
완료율 표시COUNT 결과를 퍼센트로 변환=COUNT(A1:A30)/30*100&"% 완료"
빈 칸 확인COUNTBLANK로 누락 데이터 파악=COUNTBLANK(A1:A100)&"명 미응답"

함수 조합하기: 실무 레벨업

이제 배운 함수들을 조합해볼까요? 실무에서는 여러 함수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조합 예시 1: 평균 출석률

목표: 전체 출석 가능 일수 대비 실제 출석 비율 구하기

=COUNT(B2:B31)/COUNTA(B2:B31)*100
  • COUNT로 출석한 날 계산
  • COUNTA로 전체 일수 계산
  • 나눗셈으로 비율 구하고 100을 곱해 퍼센트로 표시

조합 예시 2: 평균과 합계 함께 보기

성적표에서 총점과 평균을 함께 표시:

총점: =SUM(B2:F2)
평균: =AVERAGE(B2:F2)

또는 한 셀에 텍스트와 함께:

="총점: " & SUM(B2:F2) & "점, 평균: " & AVERAGE(B2:F2) & "점"

조합 예시 3: 조건부 계산

특정 기준 이상만 계산하고 싶다면? (다음 강의에서 배울 IF 함수 맛보기)

=AVERAGE(IF(B2:B10>=60, B2:B10))

60점 이상인 점수들만의 평균을 구합니다.

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

실수 1: = 기호를 빼먹는 경우

잘못된 입력: SUM(A1:A10) 올바른 입력: =SUM(A1:A10)

항상 등호로 시작해야 합니다!

실수 2: 괄호를 닫지 않음

잘못된 입력: =SUM(A1:A10 올바른 입력: =SUM(A1:A10)

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개수가 같아야 합니다.

실수 3: 범위 지정 오류

잘못된 입력: =SUM(A1-A10) (하이픈 사용) 올바른 입력: =SUM(A1:A10) (콜론 사용)

범위는 콜론(:)으로 지정합니다.

실수 4: 숫자가 텍스트로 입력됨

셀에 '100처럼 작은따옴표가 앞에 있으면 텍스트로 인식됩니다. SUM이나 AVERAGE에서 계산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!

해결법: 작은따옴표를 제거하거나, VALUE 함수로 숫자로 변환합니다.

실전 연습 프로젝트: 간단한 가계부 만들기

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모두 활용해볼까요?

가계부 구조

날짜항목수입지출
1/1월급3,000,000
1/3식비50,000
1/5교통비30,000
............

필요한 계산들

총 수입 (C열 합계):

=SUM(C2:C32)

총 지출 (D열 합계):

=SUM(D2:D32)

잔액:

=SUM(C2:C32)-SUM(D2:D32)

일평균 지출:

=AVERAGE(D2:D32)

지출 발생 일수:

=COUNT(D2:D32)

단 5개의 수식만으로 완성도 높은 가계부가 완성됩니다!

마무리 하며

사칙연산: 모든 계산의 기본 (+, -, *, /)

SUM 함수: 여러 숫자를 빠르게 더하기

AVERAGE 함수: 평균을 쉽게 계산하기

COUNT 함수: 데이터 개수 파악하기

이 4가지만 제대로 익혀도 실무의 70%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처음에는 어색하겠지만, 직접 입력하면서 연습하다 보면 손에 익게 됩니다.

초보자를 위한 엑셀/스프레드시트 가이드
엑셀과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한 로드맵입니다. 기초부터 실무 활용까지, 단계별로 차근차근 배워보세요.

목차를 보시려면 이곳을 방문해주세요